저축을 시작하고자 마음먹은 많은 청년들이 한 번쯤 고민하게 되는 금융상품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많지만,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긴 납입 기간과 중도 인출 제한이 드디어 개선되었습니다.
2025년 7월부터 청년도약계좌에 ‘부분 인출’ 기능이 신설되며, 가입자들의 자금 활용이 보다 유연해졌습니다. 오늘은 바뀐 제도와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혜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자산형성 상품입니다. 일정 소득 요건을 충족한 청년이 매달 저축하면, 정부가 매월 최대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추가로 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제공합니다.
- 가입 대상: 만 19~34세,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 지원 기간: 최대 5년
- 예상 수령액: 최대 약 5천만 원 (정부 기여금 + 이자 포함)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면제
바뀐 제도 핵심: ‘부분 인출’ 가능
그동안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를 하지 않는 한 원금 인출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 7월부터는 제도 개편으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부분 인출 조건 요약
- 대상: 가입 후 2년 이상 경과한 계좌
- 횟수: 가입 기간 중 1회 한정
- 금액: 기존 납입금의 최대 40% 이내
- 신청 방법: 은행 영업점 방문 또는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
- 이자 처리: 중도 해지 시 적용 금리로 계산되며, 해당 금액은 과세 대상
즉, 꼭 필요한 순간에 한 번,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중도 해지 없이도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만기 전 해지 시에도 혜택 일부 유지 가능
기존에는 5년을 모두 채우지 못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전부 반납해야 했지만, 현재는 3년 이상 성실 납입 후 해지할 경우에는 일부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3년 이상 납입 후 해지 시:
- 비과세 혜택 적용
- 정부 기여금 일부 수령 가능
- 연 최대 7.64% 수준의 수익률 효과
이는 장기 유지에 부담을 느끼는 청년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로, 유연한 운용이 가능한 실용적 상품이 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신용점수에도 도움이 된다?
2025년 7월부터는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성실하게 납입한 가입자에게 개인 신용평가 점수 가산 혜택이 주어집니다.
- 2년 이상 유지 +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 마이데이터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 신용점수 5~10점 가점
청년층의 경우 금융 이력이 부족해 신용점수가 낮은 경우가 많은데, 정기 저축만으로 신용점수 향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가입은 언제, 어떻게?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에 신규 가입이 가능합니다. 2025년 7월의 경우 1일부터 11일까지가 신청 기간이었습니다. 신청은 아래 11개 은행을 통해 비대면 또는 지점 방문 방식으로 가능합니다.
📌 취급 은행 목록
-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농협은행
-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iM뱅크
자세한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에서 공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청년도약계좌, 다시 봐야 할 때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 지원 + 비과세 혜택 + 신용 점수 가점까지 한 번에 누릴 수 있는 청년 맞춤형 금융상품입니다.
2025년 제도 개편으로 인해 이제는 중도 해지 없이도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부분 인출 기능이 생겼고,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일부 유지도 가능해져 가입자 입장에서 훨씬 부담이 줄었습니다.
저축이 고민되는 청년이라면, 1회 한정 부분 인출과 신용 가점 혜택까지 챙길 수 있는 지금, 청년도약계좌를 다시 한 번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카오페이로 간편 신청하는 방법
정부는 2025년 7월부터 국민의 소비 촉진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신청 대상자는 1인당 최대 5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거주지, 소득, 가족 구성 등에
areumstory.tistory.com
개인사업자 지원금 50만원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방법
2025년 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부담경감 크레딧'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 제도는 개인사업자에게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공과금 및 4대 보험료의 부담을 줄이
areumstory.tistory.com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100곳 추가! 골목형상점가에서 최대 20% 혜택 받는 법
서울시, 골목상권 살리기 본격화서울시는 2025년 골목형상점가 100곳을 새롭게 지정하며,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에 나섰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 할인 혜택은 물론, 소규모 점포와 영세 상인
areumstory.tistory.com